최근 8년 중 미세먼지 최저치 기록… 고양시 대기질 개선 정책 실효성 나타나


- 지난 3년 미세먼지 143톤 저감… 녹지·수도·에너지 전방위적 개선 전략 주효

- 노후경유차 감축부터 도시숲 ‧ ESS까지… 市 민선8기 쾌적한 도시환경에 총력

-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깨끗한 공기도 도시의 자원… 아이들에게 쾌적한 대기환경 물려줄 것”

뉴스100 김동초 기자 |

 

 

미세먼지 없는 도시를 향한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 도전이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2024년 고양시 미세먼지 농도가 최근 8년 중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민선8기 추진해 온 다양한 대기정책이 실효성이 입증되고 있다.

 

경기도 대기오염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고양시 연평균 미세먼지(PM-10) 농도는 34㎍/㎥, 초미세먼지(PM-2.5)는 18㎍/㎥로 2017년 대비 각각 38%, 35% 감소했다. 또한 지난 3년간 약 143.74톤의 미세먼지를 저감했으며 이는 노후경유차 약 13,000대가 연간 배출하는 수준(환경부, 2019년)에 해당한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깨끗한 공기는 시민 일상과 삶의 질에 밀접하게 연관된 도시의 자원”이라며 “맑은 공기는 긴 시간 꾸준한 노력을 기울여 만들 수 있는 만큼 앞으로도 지속 노력해 아이들에게 쾌적한 대기환경을 물려주겠다”고 말했다.

 

초미세먼지 배출 비중 큰 수송부문 집중 … 노후경유차 감축·친환경차 늘려

 

고양시는 대기오염 주요 원인인 수송부문에 주목했다. 2022년 기준 고양시 초미세먼지 배출량 중 수송부문이 차지한 비중은 48%(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에 달했다. 이에 따라 시는 노후 경유차의 조기 폐차와 건설기계 엔진교체, 전동화 개조 등 수송부문 전반에 걸친 저감대책을 강화해 왔다.

 

2022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예산 166억 원(국도비 포함)을 투입해 노후경유차 5,208대의 조기 폐차를 지원했고, 저감장치 부착 보조(90%)와 건설기계 엔진 교체, 화물차·지게차의 전동화 개조 비용도 적극 지원했다.

 

 

친환경차 보급 확대도 가속화되고 있다. 지난 3년간 고양시가 구입시 지원한 전기·수소차는 총 9,442대에 달하며, 하반기에도 3,480대 추가 지원이 예정돼 있다. 충전 인프라도 함께 확대됐다. 작년 환경부 공모로 100억 원을 확보해 시청사·킨텍스·호수공원 등에 설치한 167기를 포함, 총 10,547기의 전기차 충전기가 구축되어 있으며 이 중 급속충전기는 1,086기다.


프로필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