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100 김동초 기자 | 16조 생산유발과 11만 고용창출으로 김포시의 경제 지형을 바꿀 ‘김포환경재생혁신복합단지’의 전체적 윤곽이 공개됐다. 시는 4차 산업 기반의 산단 조성과 함께 친수형 도시로의 환경을 갖춘 광역대중교통망 연계 직주락 복합도시로의 방향성을 밝히고, 도시 전반의 환경과 구조를 개선하는 통합형 개발에 나서겠다고 언급했다.
시는 24일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함께 한 가운데 김포시청 중회의실에서 ‘김포환경재생혁신복합단지 조성사업’ 추진계획 보고회를 열고, 사업구상안을 공유하고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보고회에서는 사업의 핵심 비전인 ‘Gimpo Urban Eco-RE:um’이 공개됐다. 김포시는 이 사업을 통해 오염된 환경을 복원하고 재생에너지 인프라를 확충해 탄소중립 기반을 갖춘 도시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재생에너지 활용을 극대화한 RE100 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환경성과 산업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또한, 기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수변·습지를 복원하고 녹지를 확충해 회복탄력성을 갖춘 친수형 도시 환경을 구축, 광역대중교통망과 연계한 직주락(職住樂) 복합도시 모델도 제시됐다. 산업·주거·문화가 한 공간에서 연결되는 자족 구조를 마련해 시민 편의성과 도시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사업 시행은 한국수자원공사가 맡아 김포시·기후에너지환경부와 협력하여 추진된다. 특히 난개발을 해소하고 환경성과 경제성이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한 도시모델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김포시는 지난 8월 환경부 장관을 비롯한 관계 부처와의 만남을 통해 사업의 필요성과 정부 지원의 당위성을 강조했으며, 환경부 역시 이 사업이 전국 환경개선과 도시재생의 모범사례가 될 수 있다는 점에 공감하고 이후에도 실무 협의와 전략 조율을 지속해오고 있다.
김병수 김포시장은 “김포 환경재생 혁신복합단지는 지역 사회 회복과 미래 성장 동력을 아우르는 핵심 프로젝트”라며 “김포시, 기후에너지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가 함께 만드는 모범적 환경도시의 기준을 김포에서 세우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이번 보고회를 계기로 행정 지원체계를 점검하고, 사업 인허가 및 실행 단계로의 전환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아울러 김포 미래도시 발전 전략과 연계하여 체계적인 사업추진을 이어갈 방침이다.
한편, ‘김포 환경재생 혁신복합단지’는 대곶면 거물대리 일원에 조성될 계획으로 장기간 누적된 환경오염으로 인한 주민 건강 피해, 인구 유출, 지역 침체 등 다양한 환경·사회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추진하는 사업이다.
[뉴스출처 : 경기도 김포시]



